서해근의원 5분 자유발언
검색 입력폼
정치/경제

서해근의원 5분 자유발언

해남군의회 서해근 의원 / 사진제공=해남군의회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naver.com

황산, 문내, 화원지역구 서해근 의원입니다

존경하는 군민여러분
올 여름의 폭염은 유래없는 기후 변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폭염에도 생업을 위해 들에서 바다에서 사투를 벌려오신 군민여러분의 정성은 오늘날 부강한 대한민국을 세우신 큰 정신이라 생각하며
마음깊이 경의를 표 합니다

먼저 자유발언의 기회를 주신 이성옥 의장님과 동료의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명현관 군수님을 비롯한 군산하 공직자 여러분의 농어촌수도건설과
RE100 산단과 LPGA 유치를 위한 노력 등 미래 성장 동력확보에
총력을 기울리고 있는 노고에 크게 격려를 드립니다

여러분께서도 잘 아시다시피 땅끝 해남에는 차별화된 전통 농경무형유산으로 강강술래, 농요, 농악, 줄다리기 등의 훌륭한 문화자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조상들의 삶과 지혜가 담겨 있고 2천여년 이상 농경 공동체를 지탱하는 힘이었으며, 최대 농군인 우리의 정체성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1980년대에 이르러 농업의 기계화와 노령화로 인하여
농경 공동체 무형유산은 소멸 위험에 봉착하였고 그 기능을 보유한
몇 어르신들이 돌아가시면 함께 영원히 사라질 것들도 있습니다.

우리군은 최고의 대통령상을 수상한 소리꾼과 고수만 해도 수십명이 됩니다
대단한 자원들이 각처에서 활동하시고 고향에서 외롭게 후진양성을 위하여
노력하고 계신 분도 계십니다
이 분들에게 우리는 어떤 배려를 했는지 왜 그분들은 고향 해남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나야 만 했는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민속의 고장 진도군, 우도 농악의 고창군, 소리의 고장 보성 등은
지역 민속을 잘 가꾼 모범사례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 동안 무형유산의 보존, 전승, 활용에 대한 고민과 체계적인 노력을
얼마나 했는지 심각하게 생각해 봐야 합니다.

강강술래는 진도로, 추정남 명고수의 전통 등은 무안으로 넘어갔습니다. 소멸위험에 처한 공동체 전통의 무형유산 가꾸기, 지금 우리가 해야 될 과제라 생각합니다

첫째, 무형유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민속전문가의 채용이 절실합니다.
우리군은 고고역사분야와 순례문학관에 전문학예사를 채용하여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전문학예사를 통하여 무형유산 발굴, 보존, 전승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시스템도 마련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빈번히 교체되는 인력을 전문화 배치해야 합니다

둘째, 무형유산 발전은, 충분한 예산지원으로 창의적인 자율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금년 본예산기준 전체 예산액 8천8백억중 문화예술분야 예산은 2백십5억원 정도입니다
이중 문화유산보존 등 시설비를 제외하면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예산은
전체 예산의 1%가 안되는 것입니다

확실한 진흥책이 필요합니다

셋째, 무형유산 해남전통 민속예술의 기능 보유자에 대한 생계 안정 제도 마련과 계승을 위한 전수관이 절실합니다.

금년들어 해남사람들이 해남의 풍습을 무대에 올려 그 우수성과 진가를 보여 주는 공연이 있었습니다, 정말 감동이었습니다.
이분들도 언제 우리 곁을 떠날지 모릅니다

해남군립예술단 설치조례는 국악단, 합창단을 둘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의지와 합의면 있으면 국악단과 전수관설치,
기능보유자 처우개선은 가능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과거 명사님들 인사말 서두에 “문화와 예술의 고장 해남군민여러분“이라고
왜! 표현을 했는지 새기며 우리 문화의 소중함과 활력책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는 지금 마한 역사 등 새로운 문화자원 발굴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해 가며 심혈을 기울리고 있습니다

새로운 자원의 발굴도 중요하지만 현존해 있는 우수한 문화자원들을
잘 가꾸고 보전해 가는 일은 더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전남 수묵비엔날레가 개막을 알렸습니다
개최지로 해남이 합류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특히 고산윤선도박물관에 전시된 공재 윤두서의 세마도는 321년만에 공개 되어 해남을 알리고 전시회 격을 높혔다는 평입니다

이 세마도는 2만여점의 유물중 일부라는 점에서
나머지 자료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번 전시회 윤재갑 총감독은 해남은 최고의 보고요
한국미술의 혁명지라고 했습니다
음악과 시와 미술과 건물 등이 한곳에 있는 한국문화의 대전시관이라
표현했습니다
고산- 공제- 초의- 추사- 소치로 내려오는 줄기와
2만여점의 자원은 학술연구를 통해 한국문화를 다시 쓸 자원이라 극찬했습니다
수묵의 본류가 해남임을 자타가 인정한 것이라 할것입니다

이러한 유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물의 위상에 걸맞는
최상의 수장고와 전시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설이 협소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임시보관중인 7천7백67점의 유물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으며 자체 보유중인 1만2천여점의 유물도
수장고가 비좁아 일부를 자체 보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현존하는 수장시설내의 유물을 조사해 보니
산성포화도가 기준치를 넘는다는 것입니다 시설 보강도 필요합니다

고산 선생님의 생전에 흔적이 있는 수도권지역에서는 박물관 건립을 제안하며
유물유치를 제안하고도 있습니다
우리군의 선점이 필요합니다
박물관에 대한 확장성, 기능성 등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미 경험을 했습니다
우리지역 명사가 보유한 고서가 우리지역 도서관이나 문화원이 아닌
타지역 대학도서관에 기증 된 사례는 가슴 아픈 일입니다

이 외에도 황도훈 전 문화원장, 윤병진 전향교 전교님이 보유하고 있는
고서도 소중한 자원이라 말합니다

우리의 소중한 자원들을 우리 것으로 만들고 가꾸어 갈 때
문화와 예술의 고장 해남으로서 그 빛를 발할것입니다

한류 열풍은 잘 아시다시피 무형(음악, 영화)에서 시작되어 음식, 의류, 화장품, 경제 등 모든 분야의 세계화로 확산되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대한민국의 선진화는 무형의 자산으로
출발되었다 할수 있는 것입니다

해남군의 미래는 “차별화된 전통 무형유산을 어떻게 가꾸느냐”
“보존되어 있는 유산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해 가느냐”에 따라
그 진가는 결정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Honorable residents of Hwangsan, Munnae, and Hwaweon,
I am Congressman Seo Hae-geun.
Respected citizens,
This summer’s heatwave has highlighted the serious environmental challenges posed by unprecedented climate change.
Despite the sweltering heat, you have continued to toil in the fields and at sea to make a living. I believe that your dedication embodies the spirit that built a prosperous Republic of Korea today, and I express my deepest respect and admiration for your efforts.
First, I would like to thank Chairman Lee Seong-ok and my fellow council members for granting me the opportunity to speak freely.
I also extend my sincere encouragement to Mayor Myeong Hyeon-gwan and all public officials under the county government, who have devoted themselves to securing future growth engin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rural waterworks, the RE100 industrial complex, and attracting the LPGA tournament.
As you well know, Hae-nam, at the south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possesses remarkable cultural resources in the form of traditional agricultural intangible heritage—such as Ganggangsullae (circle dance), Nongyo (agricultural songs), Nongak (farmers’ music), and Tug-of-War.
These traditions embody the lives and wisdom of our ancestors, sustaining agricultural communities for over 2,000 years, and they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largest class of farmers among us.
However, since the 1980s, mechaniz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have put these agricultural communal intangible heritages at risk of disappearing. Once the few elders who preserve these traditions pass away, these priceless practices may vanish forever.
In our county alone, there are dozens of master singers and drummers who have won the highest presidential awards. Many of them ar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areas, dedicating themselves to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in their hometowns, often in solitude. We must reflect on whether we have given them proper support and why so many had no choice but to leave Hae-nam.
Counties such as Jindo, the home of folk traditions, Gochang for Udong Nongak, and Boseong for traditional singing are exemplary in preserving local folk culture. We need to seriously consider how much structured effort we have invested in preserving, transmitting, and utiliz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anggangsullae has migrated to Jindo, and the traditional drumming techniques of Choo Jeong-nam have moved to Muan. Preserving community-based intangible heritage at risk of extinction is a task we must undertake now.
First, it is urgent to hire folk culture specialist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of intangible heritage. Our county has previously recruited specialized curators for archaeology, history, and literary museums, achieving remarkable results in a short period.
Through professional curators, we should establish systematic plans for discovering, preserving, and transmitting intangible heritage, and create a sustainable system for its ongoing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we need to allocate specialized personnel rather than frequently rotating staff.
Second, the development of intangible heritage requires adequate budget support to ensure creative autonomy. Based on this year’s budget, Hae-nam County’s total budget is 880 billion KRW, with only 21.5 billion KRW allocated for culture and arts. Excluding facility costs for heritage preservation, less than 1% of the total budget is available for cultural promotion. Clear and effective measures are needed.
Third, we must establish systems to secure the livelihood of holders of traditional Hae-nam folk arts and provide transmission centers to ensure the continuation of these traditions.
This year, there have been performances showcasing the customs of Hae-nam, demonstrating their excellence and cultural value—truly moving experiences. Yet, these masters could leave us at any time.
The county’s arts troupe ordinance allows for the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music group and a choir. With proper will and agreement, it is feasible to create a traditional music troupe and transmission center, as well as improve the welfare of master performers.
Past dignitaries have often begun speeches by addressing citizens of “Hae-nam, the home of culture and the arts.” We must reflect on why this expression was used and actively seek ways to preserve and invigorate our culture.
While we are investing considerable budgets and effort into discovering new cultural resources, such as the history of Mahan, it is equally important—if not more so—to preserve and nurture the excellent existing cultural resources.
Finally, I am very pleased that Hae-nam is participating as a venue in the opening of the Jeonnam Ink Painting Biennale.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display of Gongjae Yun Duseo’s Sema-do at the Gosan Yun Seon-do Museum, publicly exhibited for the first time in 321 years, elevating both the exhibition’s prestige and the recognition of Hae-nam.
Sema-do represents just a portion of over 20,000 artifact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maining items. Director Yun Jae-gap praised Hae-nam as the ultimate repository of Korean art, calling it a revolutionary center of Korean culture encompassing music, poetry, painting, and architecture. The Gosan-Gongjae-Cho-ui-Chusa-Sochi lineage and 20,000 pieces of cultural assets are invaluable resources for scholarly research to rewrite Korean art history. This affirms that Hae-nam is recognized as the origin of ink painting in Korea.
To properly manage these artifacts, we need the highest-standard storage facilities and exhibition spaces. Currently, due to limited space, 7,767 items are temporarily stored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even our own 12,000 pieces are partially stored under constrained conditions. Investigations reveal that humidity levels in current storage facilities exceed recommended standards,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facility reinforcement.
Proposals for museu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made during Gosan’s lifetime to acquire artifacts, but we must secure our position in Hae-nam. It is time to consider expansion and functional enhancement of museum facilities.
We have previously experienced the heartbreak of valuable collections of local dignitaries being donated to universities outside the region rather than local libraries or cultural centers. There are other precious resources, including rare books held by former cultural center director Hwang Do-hoon and former Hyanggyo principal Yun Byung-jin.
Only by securing and nurturing our valuable resources can Hae-nam shine as a home of culture and the arts.
As you know, the Korean Wave began with intangible cultural assets—music and film—and has spread globally across food, fashion, cosmetics, and economic sectors. In other words, Korea’s advancement started with intangible assets.
Hae-nam County’s future depends on how we cultivate our unique traditional intangible heritage and manage and preserve the existing cultural assets. The outcome will be determined by these efforts.
As the saying goes, “Even pearls must be strung to be treasures.”
Thank you for your kind attention.
If you want, I can also create a more concise, speech-friendly version in English that flows naturally for live delivery, while keeping all key points. This is often preferred for presentations. Do you want me to do that?
해남뉴스 haenamnews@naver.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