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0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8
해남뉴스 기사 프린트
대흥사 아홉 개 다리

– 완전한 10을 향해 걷는 불완전한 9개의 길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kakao.com
2025년 11월 13일(목) 16:23
조선 후기 금당천 대웅보전 앞에서 하천공사 모습 / 사진제공=해남뉴스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kakao.com

박충배 편집/논설

천 년 전, 두륜산 봉우리 아래에 부처님의 도량이 세워졌습니다.

그리고 그 도량을 향해 이어지는 10리 숲길.

천 년 전에도, 오늘도, 구도자는 그 길을 천천히, 그러나 한 걸음도 허투루 하지 않고 걷습니다.

그 길 위에 아홉 개의 다리가 놓여 있습니다.

처음엔 거친 돌다리였다가, 어느 때는 나무다리가 되었고, 지금은 돌과 시멘트 다리로 바뀌었습니다.

천 년 동안 다리는 수없이 변했지만, 숫자 9, 그 개수만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처음 다리를 놓은 이의 분명한 의도와 지혜를 읽습니다.
1. 왜 ‘아홉’인가 – 9와 10, 그리고 탑의 홀수 층
불교 상징에서 9(九)는 아직 완성에 이르지 못한 불완전한 인간, 10(十)은 부처님, 진리, 완성의 경지를 가리킵니다.

아홉 개의 다리는 곧, 완성의 숫자 10을 향해 나아가는 인간의 길, 결코 신의 자리에 오르지 못할지라도 그 방향만은 결코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사상은 사찰의 탑에서도 드러납니다.

완성을 뜻하는 짝수가 아닌, 3층·5층·7층처럼 모두 홀수입니다.
홀수 층의 탑은 말합니다.
“우리는 아직 완전하지 않다” – 겸손
“그러나 완성을 향한 길 위에 있다” – 굳은 의지

대흥사로 향하는 아홉 개의 다리 역시, 불완전함을 잊지 않는 겸손과, 그럼에도 완성을 향해 걸어가려는 인간의 다짐을 시각화한 상징체계입니다.

2. 두륜산 대흥사로 가는 10리 숲길 – 아홉 개 다리의 서사
대흥사로 향하는 길은 단순한 이동로가 아니라, 구도자의 내면 여정을 밖으로 꺼내어 배치한 하나의 ‘서사 공간’입니다.

그 여정 속에 놓인 아홉 개의 다리는 각각 고유한 이름과 이야기를 품고 있으며, 특히 『대둔사지(大芚寺志)』와 여러 기록 속에 피안교를 비롯한 다리의 역사와 변천이 자세히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한 구도자가 이 길을 걷는다는 상상을 하며 하나씩 다리를 건너가 보겠습니다.

3. 아홉 개 다리, 아홉 번의 깨달음
1) 조암교(曺巖橋) – 첫걸음을 내딛는 다리
집단시설지구에서 대흥사로 향해 처음 만나는 다리가 조암교입니다.
이름에서 짐작하듯, 처음엔 커다란 바위들을 듬성듬성 놓은 징검다리였을 것입니다.

불안정한 돌 위를 딛고 건너는 구도자의 마음은 “이 길을 정말 갈 것인가?”라는 질문 앞에 선 첫걸음과 닮았습니다.
조암교는 ‘구도의 문턱’입니다.
길을 떠날 것인지, 돌아설 것인지가 결정되는 자리입니다.

2) 현무교(玄武橋) – 길의 경계, 자연의 수호를 받는 다리
조암교를 지나 숲길로 접어들면 곧 현무교를 만납니다.
매표소를 지나 처음 맞이하는 이 다리는, 두륜산의 좌청룡과 우백호가 마지막으로 만나는 지점, 그리고 북쪽으로 흐르는 아홉 구비 물길의 끝이라 하여 북방을 상징하는 사신(四神) 현무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이곳은 산과 물, 동서와 남북이 만나는 결절 점이자 속세와 도량의 경계입니다.

현무교를 건넌다는 것은, “나는 더 이상 관광객이 아니라, 배우고 깨닫기 위해 여기 온 사람이다.”라고 다짐하는 의식과도 같습니다.

3) 니원교(泥洹橋) – 다비지 앞, 죽음과 열반을 마주하는 다리
현무교를 지나면서 구도자의 눈에 먼저 들어오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스님들의 다비 의식이 치러지는 다비지(茶毘址)입니다.
그 앞에 놓인 다리가 니원교입니다.

‘니원(泥洹)’은 열반(涅槃, Nirvāṇa)을 한자로 옮긴 말입니다.

육신은 타서 재가 되지만 법과 뜻은 남고, 생과 사의 경계를 넘어서는 경지가 니원입니다.

그러나 구도자의 길은 결코 순탄치 않습니다.

지치고, 포기하고 싶고, 수많은 세속의 유혹에 흔들리기도 합니다.
니원교는 말합니다.

“언젠가 너도 이 길의 끝에서 무엇을 남길 것인가.”

4) 운송교(雲松橋) – 다시 일어나는 생명력의 다리
길을 걷던 구도자의 시선에 문득 박힌 것은 하늘을 향해 곧게 뻗은 아름드리 소나무였습니다.

하얀 뭉게구름을 향해 치솟은 소나무의 기상. 그 기상은 지친 구도자를 다시 일으켜 세웁니다.

그 곁에 놓인 다리가 바로 운송교입니다.
이름 그대로 ‘구름(雲)과 소나무(松)의 다리’입니다.
하늘과 땅을 잇는 소나무, 그 위를 유영하는 구름, 그리고 그 사이를 건너는 인간. 운송교는, 쓰러질지라도 다시 일어나 걷겠다는 결심의 다리입니다.

5) 홍류교(紅流橋) – 동백 붉은 물, 번뇌와 생명의 다리
대흥사로 가는 길에는 예나 지금이나 붉은 동백꽃이 참 아름답습니다.

붉디붉은 동백꽃이 계곡 가득 떨어지면 물줄기까지 붉게 물듭니다.

그 붉음을 멍하니 바라보다가 구도자가 건너는 다리가 바로 홍류교(紅流橋)입니다.

말 그대로 ‘붉은 흐름의 다리’입니다.
피처럼 붉은 생명력, 욕망과 번뇌의 붉음, 그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수행의 열정. 홍류교에서 구도자는 깨닫습니다.

“번뇌를 없애는 것이 수행이 아니라, 번뇌를 껴안고 걸어가되 그것에 휩쓸리지 않는 것이 수행이다.”

6) 망화교(網花橋) – 꽃의 그물, 집착과 해탈의 다리
옛날 대흥사 구 주차장 주변 계곡에는 매화꽃이 골짜기를 가득 메울 정도로 피었다 합니다.

계곡에 떨어진 매화가 물결에 떠내려 오다 다리 근처에서 한데 모여 맴돕니다.

그 모습이 마치 꽃이 그물에 잔뜩 걸린 듯하여 ‘그물 망(網)’자를 써 망화교(網花橋)라 이름 하였습니다.

아름다움도 지나치면 집착의 그물이 되고, 그 집착을 끊지 못하면 발목을 붙잡는 사슬이 됩니다.

망화교는 구도자에게 묻습니다.

“너는 무엇에 발이 걸려 있는가?
어디까지가 욕망이고, 어디부터가 집착인가?”

7) 피안교(彼岸橋) – 수많은 이름, 수많은 상처를 품은 다리
여섯 번째 다리인 망화교를 지나면 옛 대흥사 매표소 앞에 피안교(彼岸橋)가 나타납니다.

오늘날 이 다리는 1967년 김종필 당시 총리의 재건 지원으로 다시 세워져 ‘김종필 다리’라고도 불립니다.

그 인연으로 교각에는 김 전 총리의 글씨가 남아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다리는 단지 인물의 흔적만을 담은 다리가 아닙니다.

『대둔사지』 등 기록에 따르면, 과거 이곳에는 무지개 모양의 아름다운 홍교가 서 있었고, 이 다리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는 다리라는 뜻의 사자교(獅子橋)
수많은 물줄기가 모이는 곳이라 하여 만폭교(萬瀑橋)
청빛을 띤 돌로 쌓은 무지개 다리라 하여 청홍교(靑虹橋)

하지만 이 다리는 홍수 때마다 자주 무너졌고, “이 다리 때문에 대흥사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는 말까지 돌았습니다.

결국 어떤 스님이 이 다리를 허물어버렸고, 그 돌은 해남읍의 홍교를 짓는 데에 옮겨 쓰였다고 『대둔사지』는 상세히 전합니다.

피안교는 본디, “세속(此岸)을 벗어나 부처의 세계(彼岸)로 나아가는 관문”이자 “도량을 지키는 수문장 같은 다리”였습니다.

수없이 무너지고, 다시 세워지고, 이름을 바꿔 온 피안교는 피안이란 완성된 세계라기보다, 늘 새로 건너야 할 자리라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8) 운학교(雲鶴橋) – 서산대사의 이름을 품은 다리
피안교를 건너 조금 더 오르면 부도전을 지나 만나게 되는 다리가 운학교(雲鶴橋)입니다.

서산대사의 아명을 딴 다리로, 한때는 쌍옥교(雙玉橋)라 불리다가, 1972년 100년 만의 대홍수로 유실된 뒤 조선내화 이훈동 회장의 후원으로 재건되며 ‘반야교(般若橋)’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대흥사 대웅보전 앞 침계루와 심진교 / 사진제공=해남뉴스

하지만 불교 교학에서 반야(지혜)의 경지를 지나야 비로소 피안(彼岸)에 이른다고 보는데, 길의 순서를 놓고 보면 ‘피안교 다음에 반야교’가 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습니다.

결국 이 다리는 다시 본래 이름인 운학교로 돌아왔습니다.

운학교는,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서산대사의 나라 사랑,
수행자의 지혜와 책임, 그 둘을 함께 떠올리게 하는 다리입니다.

구도자는 이 다리에서 “개인의 깨달음과 공동체를 향한 책임은 둘이 아니”라는 사실을 가슴 깊이 새기며 마지막 다리를 향해 나아갑니다.

9) 심진교(尋眞橋) – 진리를 찾아 건너는 마지막 관문
마침내 대웅보전 앞, 구도자의 눈앞에 마지막 다리 하나가 놓여 있습니다.

바로 심진교(尋眞橋)입니다.

이 다리는 말 그대로 ‘진리를 찾아(尋眞) 건너는 다리’입니다.

심진교를 건너는 순간, 구도자는 대웅보전 마당에 들어서며 부처님을 친견하게 됩니다.

이제 발은 도량에 닿았지만, 마음의 수행은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심진교는 조용히 속삭입니다.

“진리를 찾는 일은, 한 번 건너고 끝나는 다리가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 쉼 없이 건너야 하는 다리다.”

4. 결론 – 우리는 지금, 무엇을 건너고 있는가?
숲 터널을 따라 천천히 걸어야 만나는 대흥사. 계곡과 천년의 숲, 천년의 바위와 다리가 한 몸처럼 어우러진 이 길은 단순한 산책로가 아닙니다.

아홉 개의 다리는 불완전한 9에서 완성의 10을 향해 나아가려는 인간의 길이고, 홀수 층의 탑과 함께 겸손과 의지를 동시에 상징합니다.

대흥사의 아홉 다리를 건넌다는 것은, 사실 콘크리트 위를 걷는 일이 아니라 자기 안에 있는 아홉 개의 다리를 하나씩 건너는 일입니다.

포기하고 싶은 마음의 조암교,
경계 앞에 선 현무교,
죽음과 열반을 마주하는 니원교,
다시 일어서게 하는 운송교,
번뇌와 열정을 품은 홍류교,
집착의 그물을 끊어내는 망화교,
수없이 무너져도 다시 서는 피안교,
나라와 나를 함께 품는 운학교,
끝내 진리를 찾겠다고 결심하는 심진교.

우리는 살아가며, 날마다 이 아홉 개의 다리를 마음속에서 수없이 건너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천 년 전 누군가가 숫자 9에 담아 둔 지혜와 기도를 기억하며, 대흥사로 향하는 길을 오늘, 다시 천천히 걸어봅니다.

대흥사 대웅보전 앞 심진교 / 사진제공=해남뉴스



Daheungsa’s Nine Bridges
– Nine Imperfect Steps Toward the Perfect Ten
By Park Chung-bae, Editorial Writer / Columnist
[Haenam = Haenam News] haenamnews@kakao.com
A thousand years ago, beneath the towering peaks of Duryunsan, a sacred Buddhist temple was founded.
Leading to this holy ground is a ten-ri forest path—an ancient pilgrimage route.
A millennium ago, seekers of truth walked this path.
Today, they still do, placing each step with quiet intention.
Along this path lie nine bridges.
Once they were rough stone crossings, then wooden spans, and now they appear as stone and concrete.
The bridges have changed countless times over a thousand years—
and yet the number nine has never changed.
In this, we read the unmistakable insight of those who first built them.
1. Why Nine? — The Symbolism of 9 and 10, and the Odd-Numbered Pagodas
In Buddhist symbolism,
nine (9) represents the human state—still incomplete, imperfect.
Ten (10) signifies completion, the realm of the Buddha, absolute truth.
Thus, the nine bridges are not arbitrary; they symbolize
the human journey toward the perfect ten—
a path we walk knowing we may never reach divine perfection,
yet refusing to lose sight of it.
This principle also appears in the pagodas built at temples.
Rather than even numbers symbolizing completeness,
pagodas are built in odd numbers—three, five, seven stories.
The pagodas say:
“We are not yet perfect” — humility
“But we are on the path toward completion” — determination
The nine bridges of Daheungsa are a visual teaching:
a reminder of our imperfection,
and at the same time a declaration of our unwavering resolve to move toward enlightenment.
2. The Ten-ri Forest Path to Daheungsa — A Narrative in Stone and Water
The way to Daheungsa is not merely a walkway.
It is a spiritual narrative laid out in physical space,
a map of the seeker’s inner journey projected onto the landscape.
Each bridge carries a name, a story, and symbolic meaning.
Historical records—including the Daedun Temple Chronicles (大芚寺志)—preserve detailed accounts, especially of the Piangyo (Bridge of the Other Shore).
Let us imagine a seeker walking this ancient path,
crossing the bridges one by one.
3. The Nine Bridges — Nine Moments of Awakening
1) Joa m Bridge (曺巖橋) — The First Step into the Path
The first bridge from the village area toward Daheungsa is Joam Bridge, originally a simple stone stepping bridge laid with large boulders.
A seeker stepping onto these uncertain stones faces a silent question:
“Will I truly walk this path?”
Joam Bridge is the threshold of practice,
the place where one chooses whether to turn back or begin.
2) Hyeonmu Bridge (玄武橋) — The Bridge of Boundaries and Protection
Beyond Joam Bridge lies Hyeonmu Bridge, near the ticket office.
Here, Duryunsan’s left Blue Dragon and right White Tiger ridges meet for the final time.
The stream forms the ninth and last northern curve,
and thus the bridge is named after Hyeonmu, the Black Tortoise, guardian of the North.
It is a meeting point of mountains and streams, east and west, north and south—
a boundary between the secular world and sacred ground.
Crossing this bridge is a declaration:
“I am no longer a tourist.
I am here to learn and awaken.”
3) Niwon Bridge (泥洹橋) — Confronting Death and Nirvana
Soon after Hyeonmu Bridge, the seeker encounters the cremation site (dabi-ji)
where monks’ final rites are held.
In front of it stands Niwon Bridge.
“Niwon (泥洹)” is the classical Chinese rendering of Nirvāṇa.
The body burns to ash,
but Dharma and intention remain.
Life and death dissolve into one.
The bridge asks:
“When you reach the end of your journey,
what will you leave behind?”
4) Unsong Bridge (雲松橋) — A Bridge of Renewal and Life-Force
Suddenly the seeker notices a towering pine tree reaching toward white clouds.
Its bold stance rekindles exhausted determination.
Beside it stands Unsong Bridge—the Bridge of “Cloud” and “Pine.”
The pine links earth and sky; the clouds drift freely above;
between them walks the seeker.
Unsong Bridge becomes the moment of renewed resolve:
Though I may fall, I stand again.
5) Hongryu Bridge (紅流橋) — The Red Stream of Passion and Delusion
On the way to Daheungsa, camellias bloom crimson.
When their petals fall thick into the stream,
even the water turns red.
This mesmerizing sight gives its name to Hongryu Bridge,
the Bridge of the Red Current.
Blood-red life force,
red desires and delusions,
yet also the burning passion of discipline—
Hongryu Bridge teaches:
Awakening is not the absence of delusion,
but the ability to carry delusion without being swept away by it.
6) Manghwa Bridge (網花橋) — Beauty’s Net, Desire and Release
Long ago, the valley near the old parking area overflowed with plum blossoms.
Petals drifting down the stream gathered near this bridge,
as though caught in an invisible net of flowers.
Thus it was named Manghwa Bridge (“網花”), the Bridge of the Flower-Net.
Even beauty, when clung to, becomes a net of attachment.
Manghwa Bridge whispers:
“What is it that entangles your feet?
Where does longing end and attachment begin?”
7) Piangyo (彼岸橋) — The Bridge of the Other Shore
Past Manghwa Bridge appears Piangyo,
the most storied and wounded of the nine bridges.
Rebuilt in 1967 with support from Prime Minister Kim Jong-pil,
it is sometimes called the “Kim Jong-pil Bridge,”
with his inscription carved on its pier.
But its history reaches much deeper.
According to Daedunsa Chronicles,
a beautiful stone rainbow bridge once stood here, known by many names:
Sajagyo (獅子橋) — the Bridge of the Lion, guardian of the Dharma
Manpokgyo (萬瀑橋) — where countless streams gather
Cheonghonggyo (靑虹橋) — a blue-hued rainbow bridge
Yet the bridge often collapsed in floods.
Some believed:
“Because of this bridge, Daheungsa will not endure long.”
A monk eventually demolished it,
and the stones were carried off to build the famous stone bridge in Haenam-eup.
The chronicles record the event in detail.
Piangyo originally meant
the passage from this shore (此岸) to the Other Shore (彼岸)—
the boundary between the mundane and the enlightened.
Piangyo teaches:
Enlightenment is not a final destination,
but a bridge we must cross again and again.
8) Unhak Bridge (雲鶴橋) — The Bridge Named After Master Seosan
A little farther on, beyond the stupa field, stands Unhak Bridge,
named after the childhood Buddhist name of Master Seosan.
It was once called Sangok Bridge (雙玉橋),
later rebuilt as Panya Bridge (般若橋) after the catastrophic 1972 flood.
But Buddhist doctrine teaches that
prajñā (wisdom) must precede reaching the Other Shore.
Thus, a “Panya Bridge” placed after Piangyo contradicted the teaching,
and the name eventually returned to Unhak Bridge.
The bridge evokes both
Master Seosan’s patriotism
and the spiritual responsibility of a practitioner.
Here the seeker realizes:
Personal enlightenment and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are never separate.
9) Simjin Bridge (尋眞橋) — The Final Passage Toward Truth
At last, before the Daeungbojeon Hall,
the seeker encounters the final bridge: Simjin Bridge.
“Simjin” means “to seek truth.”
Crossing it, the seeker steps into the Buddha Hall,
yet the journey of the mind continues.
Simjin Bridge whispers:
“Seeking truth is not a bridge crossed once,
but one you must cross for the rest of your life.”
4. Conclusion — What Bridge Are We Crossing Today?
The ten-ri forest tunnel leading to Daheungsa is not merely a scenic walk.
Its streams, ancient trees, stones, and bridges form a living mandala.
The nine bridges represent
the passage from imperfect nine to perfect ten,
mirroring the odd-numbered pagodas that symbolize humility and resolve.
Crossing the bridges is not simply traversing concrete—
it is crossing the nine bridges within ourselves:
The hesitation of Joam Bridge
The threshold of Hyeonmu Bridge
The confrontation with mortality at Niwon Bridge
The renewal of Unsong Bridge
The fire of desire at Hongryu Bridge
The net of attachment at Manghwa Bridge
The wounds and rebirths of Piangyo
The unity of wisdom and responsibility at Unhak Bridge
The lifelong search embodied in Simjin Bridge
Each day, knowingly or not,
we may already be crossing these nine bridges in our hearts.
Remembering the wisdom and prayers hidden in the number nine,
we walk—slowly, quietly—
toward Daheungsa once again.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kakao.com
이 기사는 해남뉴스 홈페이지(www.hbc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hbcnews.kr/article.php?aid=1270555642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4일 11:2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