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0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8
해남뉴스 기사 프린트
“해를 붙잡은 나무와 두 미륵불의 전설”

두륜산 북미륵암·남미륵암과 천년수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kakao.com
2025년 11월 11일(화) 20:28
대흥사 가을 추경 전경 / 사진제공=해남뉴스
[해남뉴스]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kakao.com

해남 두륜산(頭輪山) 자락에는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마음을 붙잡아 온 두 개의 암자가 있다.
바로 북미륵암(北彌勒菴)과 남미륵암(南彌勒庵), 그리고 그 두 암자 사이에서 천년을 지켜 온 천년수(千年樹)다.

천년수는 10명의 어른이 손을 맞잡아야 겨우 둘러 안을 수 있을 만큼 거대한 느티나무로, 수령은 약 1,200~1,500년으로 추정된다.

말 그대로, 이 나무는 시간을 품은 산의 증인이다.

천년수를 중심으로 북쪽에는 북미륵암, 남쪽에는 남미륵암이 마주 앉아 있다.

???? 북미륵암 – 앉은 모습의 미륵불
북미륵암은 고려 전기(11세기)부터 학문을 강론하던 수행의 도량이었다.
용화전에는 바위 면을 그대로 살린 마애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그 표정은 천년 동안 산을 바라보며 미소를 머금은 듯 고요하고도 자비롭다.

공양하는 천인상까지 함께 새겨진 이 불상은 예술성과 희귀성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다.
북미륵암 아애여래좌상은 2005년 9월 28일 국보 308호로 지정이 되었다.

???? 남미륵암 – 서 있는 미륵의 형상
남미륵암에는 전실 없이 바위에 바로 새겨진 마애불입상이 남아 있다.

세월의 이끼가 불상의 가장자리까지 스며들었지만, 그 윤곽은 여전히 장엄하다.

또한 북미륵암의 양각 불상과 달리 남미륵암은 음각으로 조성되어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한 쌍의 미륵이라는 해석이 전해진다.

???? 그리고, 두 미륵을 만든 천상(天上)의 전설
아주 오래전, 하늘나라에 살던 천동(天童)과 천녀(天女)가 계율을 어기고 지상으로 내려오는 벌을 받았다고 한다.

하늘로 돌아가기 위한 단 하나의 조건은 ‘하루 안에 바위 위에 불상을 조각할 것.’ 하지만 하루는 너무 짧았다.

그래서 두 사람은 해가 지지 않도록 만일암(挽日菴)터 앞의 천년수에 해를 끈으로 매달아 놓았다.

천녀는 북쪽 바위에 앉은 미륵불을, 천동은 남쪽 바위에 서 있는 미륵불을 조각하기 시작했다.

천녀는 먼저 완성했지만, 천동은 아직 미완이었다.

기다림에 지친 천녀는 하늘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참지 못하고 해를 붙잡은 끈을 스스로 잘라 버렸다.

하늘은 다시 저물었고 천동은 결국 불상을 완성하지 못한 채 이 땅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남미륵암의 불상은 미완의 형태로 남게 되었고, 두 개의 미륵과 천년수는 이별과 기다림의 약속을 품은 채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대흥사 천년수 단풍 / 사진제공=해남뉴스

???? 마무리 문구
시공을 넘어 내려오는 이 이야기에서, 천년수는 해를 붙잡은 나무, 만일암(挽日菴)은 해를 당긴 암자, 그리고 북미륵암·남미륵암은 천동과 천녀가 남긴 천년의 흔적임을 알 수 있다.

두륜산에 서면 누군가는 묻는다.
“해를 붙잡은 나무 아래에서, 아직도 천동은 그날의 약속을 기다리고 있을까?”

천년수는 2018년 4월 1일 전라남도 천년을 상징하는 대표나무로 지정이 되어 보호되고 있다.




[Haenam = Haenam News] haenamnews@kakao.com
“The Tree That Held the Sun and the Legend of the Two Maitreya Buddhas”
North Maitreya Hermitage, South Maitreya Hermitage, and the Millennial Zelkova of Duryunsan
At the foot of Duryunsan Mountain in Haenam, Jeollanam-do, stand two hermitages that have captured the hearts and imagination of monks, villagers, and pilgrims for centuries.
These are Bukmireukam (North Maitreya Hermitage) and Nammireukam (South Maitreya Hermitage)—and between them stands the great Millennial Zelkova Tree, which has watched over them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This ancient tree is so large that it takes ten adults holding hands to encircle its trunk.
Its age is estimated to be between 1,200 and 1,500 years.
In every sense, it is a living witness to the passage of time in this sacred mountain valley.
With the Millennial Zelkova at its center, Bukmireukam lies to the north, and Nammireukam to the south—facing one another like two guardians.
???? Bukmireukam – The Seated Maitreya
Bukmireukam has served as a place of Buddhist learning and meditation since the early 11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Inside the Yonghwa Hall is an engraved seated Buddha carved directly into the rock face.
The Buddha’s expression—gentle, calm, and serene—seems to have gazed over the mountains for a thousand years.
The relief also includes heavenly beings offering tribute, enhancing its artistic and spiritual significance.
This Buddha figure was designated National Treasure No. 308 on September 28, 2005.
???? Nammireukam – The Standing Maitreya
At Nammireukam, a standing Buddha carved directly into an exposed rock wall remains.
Although weathered by wind, rain, and moss over the centuries,
the sacred form still holds a majestic presence.
Unlike the raised carving of Bukmireukam, the Buddha at Nammireukam is carved in bas-relief, creating a symbolic harmony of yin and yang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images.
???? The Heavenly Legend of Their Creation
Long ago, there lived in the heavens a celestial maiden and a celestial youth who were cast down to earth for breaking divine law.
The only way they could return to the heavens
was to complete the carving of Buddha statues within a single day.
But a day was too short.
So the two celestial beings tied the setting sun to the Millennial Zelkova, preventing night from falling.
The celestial maiden carved the seated Buddha on the northern rock,
and the celestial youth carved the standing Buddha on the southern cliff.
The maiden completed her task first.
But the youth had not yet finished his.
Impatient and longing to return to heaven,
the maiden cut the rope holding the sun, leaving the youth in darkness.
The sun set.
The youth’s carving remained unfinished.
And he was never able to ascend back to the heavens.
Thus, the standing Buddha at Nammireukam remains slightly unfinished,
and the Millennial Zelkova became the keeper of their promise, separation, and eternal waiting.
???? Closing Reflection
In this timeless story:
The Millennial Tree is the tree that once held the sun.
Mangilam (挽日菴), the nearby site, means “the hermitage that pulls back the sun.”
Bukmireukam and Nammireukam stand as the earthly traces of the celestial lovers, frozen in time.
And so, among the mists of Duryunsan, some still ask:
“Beneath the tree that held the sun,
is the celestial youth still waiting for the promise of that day?”
The Millennial Zelkova was designated the Symbolic Millennium Tree of Jeollanam-do on April 1, 2018,
and continues to be carefully protected to this day.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kakao.com
이 기사는 해남뉴스 홈페이지(www.hbc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hbcnews.kr/article.php?aid=1267267079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4일 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