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대혁명, 인류의 불을 다시 밝히는 시대 — 해남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
| 2025년 11월 03일(월) 17:26 |
![]() 박충배 논설위원 / 사진제공=해남뉴스 |
AI와 엔비디아, 그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뛰는 단어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인공지능(AI)을 “인류가 철을 발명한 것과 같은 혁명적 변화”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AI의 등장은 그보다 훨씬 더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그것은 인류가 ‘불’을 발견한 순간에 버금가는 문명사적 대전환이다.
25년 전, “국민의 모든 민원은 인터넷으로 가능해질 것”이라는 말이 나왔을 때 사람들은 고개를 저었다.
너무 앞서간 이야기라며 비웃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인터넷 행정과 비대면 서비스, 디지털 금융이 일상이 된 세상을 살고 있다.
이제 인공지능이 그보다 훨씬 거대한 변화를 몰고 오고 있다.
AI와 로봇이 노동의 주체로 등장하면서 인간의 역할은 창의와 가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산업 현장은 자동화되고, 행정은 지능화되며, 교육과 복지까지도 AI가 보조하는 시대가 코앞이다.
빠르면 5년 안에 인류는 이 변화의 무게를 피부로 느끼게 될 것이다.
해남과 솔라시도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
AI 대혁명이 현실화되면 인간의 삶은 이전 어떤 기술혁명보다 더 세밀하게 바뀐다.
단순히 일자리가 줄거나 생기는 문제가 아니라, 직업의 성격이 바뀌고 산업 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나아가 지역사회의 공간 배치, 인구 흐름, 도시의 구조까지 재편될 것이다.
해남이 이러한 거대한 물결을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사람, 산업, 공간, 제도 등 네 가지 축에서 촘촘한 준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사람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
자동화와 로봇이 반복적이고 육체적인 노동을 대신하면서 데이터 설계, AI 감독, 서비스 디자인과 같은 새로운 고부가가치 직종이 등장할 것이다.
이에 맞춰 직무 전환(Reskilling)과 평생학습 체계를 즉시 확충해야 한다.
또한 산업 전환기에 발생할 단기 실업과 소득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실업·전직 보조, 지역형 기본소득 실험, 전직 교육비 지원 같은 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
생활의 질도 크게 달라질 것이다.
원격의료, 개인 맞춤형 교육, 스마트 교통이 일상이 되면서 도시의 형태와 통근 방식이 바뀔 것이다.
해남은 이러한 변화를 긍정적인 기회로 삼아, 삶의 질이 높은 주거와 돌봄, 문화 인프라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
산업 전반에도 변화의 파급은 예외가 없다.
농업에서는 정밀농업과 드론 수확, 예측형 병해충 관리가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일 것이며, 제조업은 스마트팩토리와 자율물류로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다.
의료·복지 분야에서는 AI 진단과 재택케어, 치매 예측 등으로 의료 접근성이 개선되겠지만, 개인정보 보호와 윤리 기준 확립이 병행되어야 한다.
교육, 문화, 공공서비스 역시 AI와 결합해 효율과 창의성을 높이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산업 집중은 자연스럽게 인구 유입을 불러온다.
젊은 기술 인력과 스타트업이 몰리면 주거, 교통, 교육 수요가 급증하게 된다.
해남과 솔라시도는 단순한 주거단지 조성에 머물지 말고, 연구와 창업, 보육과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 생태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
자연환경과 개발의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를 정교하게 관리해야 한다.
혁신의 기반이 되는 제도적 지원도 빼놓을 수 없다. AI는 기존의 법과 규제를 무력화할 만큼 빠르게 발전한다.
따라서 유연하면서도 안전한 규제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해남과 솔라시도는 AI 실증특구로 지정되어야 하며, 데이터 허브 구축, 공공데이터 개방, 고성능 컴퓨팅 자원 확보 등 기반 투자가 동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R&D 투자 세제 혜택, 창업 보조금, 산학연 협력펀드 등 구체적인 재정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인공지능의 확산은 윤리적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 AI 책임소재, 알고리즘 투명성 등 법적 프레임워크를 조속히 정비해야 한다.
행정 절차는 간소화하고, 기업이 신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별 전략, 즉 ‘영광의 로드맵’이 필요하다.
첫째, 즉시 단계(0~6개월)에서는 해남·솔라시도의 AI 비전 선포와 범정부 거버넌스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초 인프라 단계(6~18개월)에서는 데이터센터 구축과 지역 인재 교육프로그램이 가동되어야 한다.
셋째, 실증 단계(18~36개월)에서는 스마트 농업, 제조, 의료 등 핵심 산업 실증사업을 추진하며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해야 한다.
넷째, 확장 단계(3~5년)에서는 제도와 윤리를 정비하고 공공서비스를 전면 전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착 단계(5년 이후)에는 해남형 AI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해외 협력과 수출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다.
AI 대혁명은 피하거나 미룰 수 있는 도전이 아니다.
해남과 솔라시도는 지금, 대한민국의 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역사적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다만 이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만 주어진다.
교육과 인프라, 제도와 윤리, 그리고 사람에 대한 세심한 대비가 함께 이루어질 때 비로소 ‘영광의 로드맵’은 현실이 된다.
지금이 바로 해남에서 인공지능의 불꽃을 붙이고, 대한민국의 미래 지도에 새로운 심장을 심을 시간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과 시민이 함께 이 전환을 주도한다면, 해남은 단순한 지역을 넘어 ‘한국의 디지털 두뇌’로 기억될 것이다.
[Haenam = Haenam News] haenamnews@naver.com
“The Age of the AI Revolution—Reigniting Humanity’s Fire: Haenam Must Be at Its Center”
AI and NVIDIA — words that make the heart race.
Recently, President Lee Jae-myung describ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 “a revolutionary change comparable to humanity’s invention of iron.”
Yet, the emergence of AI heralds a transformation even more profound — a civilizational turning point akin to the moment humanity first discovered fire.
Twenty-five years ago, when someone predicted that “all public services would someday be available online,” people scoffed at the idea.
They said it was too far ahead of its time.
But today, digital governance, non-face-to-face services, and online finance have become an inseparable part of daily life.
Now, AI is driving an even greater wave of change.
As AI and robotics emerge as the new agents of labor, human roles are shifting toward creativity and value-based work.
Industries are becoming automated, administrations more intelligent, and even education and welfare are on the verge of being reshaped by AI.
Within as little as five years, humanity will feel the full weight of this transformation.
At the heart of this change lies an opportunity for Haenam and Solaseado.
The AI revolution will alter human life more intricately than any past technological shift.
It is not simply about jobs disappearing or emerging — it is about how the very nature of work and the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will dissolve.
Entire communities — their population patterns, spatial layouts, and urban structures — will be reorganized.
To seize this monumental shift as an opportunity, Haenam must prepare across four pillars: people, industry, space, and governance.
First and foremost, preparation must begin with people.
As automation replaces repetitive and physical labor, new high-value professions will arise — in data design, AI supervision, and service innovation.
To keep pace, we must rapidly expand reskilling and lifelong learning systems.
At the same time, robust social safety nets — such as job-transition assistance, regional basic income pilots, and retraining subsidies — will be essential to mitigate short-term unemployment and income instability during industrial transformation.
Quality of life will also undergo dramatic change.
Remote healthcare, personalized education, and smart mobility will reshape urban form and commuting patterns.
Haenam must seize this moment to design a livable, human-centered city — one that integrates housing, care, and culture with the latest technology.
No industry will remain untouched by this revolution.
In agriculture, precision farming, drone harvesting, and predictive pest management will boost productivity and quality simultaneously.
Manufacturing will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smart factories and autonomous logistics.
In healthcare and welfare, AI diagnosis, home-care systems, and dementia prediction will improve accessibility — but must be accompanied by strict data protection and ethical oversight.
Education, culture, and public services, too, must embrace AI while closing the digital divide through thoughtful policy.
Such industrial concentration will inevitably attract population inflows.
As young professionals and startups gather, demand for housing, transport, and education will surge.
Haenam and Solaseado should go beyond simply building residential zones — they must evolve into integrated innovation cities where research, entrepreneurship, childcare, and culture coexist.
While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nature and development, the city must carefully craft its identity as a truly livable city.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support will also be vital.
AI advances so rapidly that traditional legal frameworks can barely keep pace.
We need agile yet safe regulatory systems.
Haenam and Solaseado should be designated as AI regulatory-free special zones, equipped with data hubs, open public datasets, and high-performance computing infrastructure.
These must be supported by tangible fiscal incentives — tax credits for R&D, startup grants, and collaborative funds linking academia, industry, and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 ethical dimension of AI cannot be ignored.
Legal frameworks governing privacy protection, accountability, and algorithmic transparency must be established quickly.
Administrative procedures should be streamlined, and companies should be encouraged to experiment under a proactive “regulatory sandbox” system.
To turn this vision into reality, a concrete step-by-step strategy — a true “Roadmap of Glory” — is required.
Immediate Phase (0–6 months): Declare Haenam and Solaseado’s AI Vision and establish a pan-governmental governance structure.
Infrastructure Phase (6–18 months): Begin building data centers and regional talent-training programs.
Pilot Phase (18–36 months): Implement AI pilot projects in smart agriculture, manufacturing, and healthcare while operating regulatory sandboxes.
Expansion Phase (3–5 years): Refine institutional and ethical frameworks, and fully transition public services to AI systems.
Maturity Phase (beyond 5 years): Scale up the “Haenam AI Model” nationwide, and pursu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port of Korean AI solutions.
The AI revolution is not a challenge to delay or avoid — it is an inevitable epochal transformation.
Haenam and Solaseado now stand before a once-in-a-century opportunity to reshape the industrial paradigm of Korea.
But opportunity favors only those who are prepared.
When education, infrastructure, policy, ethics, and people align with precision, the “Roadmap of Glory” will become reality.
Now is the time to ignite the flam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aenam —
to plant a new beating heart on the map of Korea’s digital future.
If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businesses, and citizens move together,
Haenam will not simply be another region —
it will be remembered as the digital brain of Korea.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