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0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8
해남뉴스 기사 프린트
AI 시대, 호국불교의 부활 — 대흥사 추계제향이 던지는 물음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2025년 11월 01일(토) 21:12
2025년 서산대제추계제향 제사장 / 사진제공=대흥사
[사설·기획특집]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naver.com

가을의 문턱에서, 해남 대흥사에는 향 하나로 천년의 시간이 피어난다.

‘추계제향(秋季祭享)’,
그 의식의 본질은 단순한 불교행사가 아니다.
그것은 나라를 지켜낸 호국불교(護國佛敎)의 역사, 그리고 인간의 정신이 기술보다 앞서야 한다는 철학이 깃든 시간의 의례이다.

■ “나라가 없으면 불법도 없다” — 서산대사의 격문
임진왜란이 발발하던 1592년, 서산대사(休靜, 1520~1604)는 전국 사찰에 격문을 띄웠다.

“나라가 없으면 불법도 없고, 백성이 없으면 부처의 자비도 없다.”

그 한마디로 전국의 승려들이 들불처럼 일어났고, 전국 사찰에서는 1,500명의 승병이 조직되었다.

그들은 칼 대신 기도를, 방망이 대신 자비심을 품고 전장에 섰다.
이것이 호국불교의 시작이었다.

북한 평안남도의 수충사에는 지금도 서산대사의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

그곳에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초판 인경(印經) 일부가 모셔져 있다.

남과 북이 서로의 불심으로 이어져 있다는 이 사실은, 분단의 현실 속에서도 문화와 정신의 뿌리는 하나임을 일깨운다.

■ 정조의 친필 현판 — 왕이 내린 철학적 예우
조선의 개혁군주 정조대왕은 서산대사의 공덕을 높이 평가하며 직접 친필로 ‘대흥사(大興寺)’ 현판을 내렸다.

그리고 “왕의 제향에 준하는 제사를 올리라”는 명을 내렸다.

그것은 단순한 정치적 예우가 아니었다.
정조는 ‘도의(道義)가 국가의 기둥’이라 믿었다.

그에게 불교의 자비는 유교의 인(仁)과 다르지 않은 국가의 정신 기반이었다.
그 친필 현판은 그래서 오늘날까지 정신과 제도의 조화, 신앙과 국가의 통합을 상징한다.

■ 전통의례의 현대적 재해석 — ‘마음의 국가’로서의 제향
대흥사의 춘추제향은 시대에 따라 진화했다.

2025년 제향은 고문헌 「대흥사 의궤」와 「호국승의홀기」를 근거로
현대적으로 재구성되었다.

의례는 세 단계로 이뤄진다.
향화헌공(香花獻供) — 자연에 대한 감사와 정화의 의식
삼보예참(三寶禮懺) — 부처·법·승에 예를 올리며 참회하는 마음
평화발원 다비의식(茶毘儀式) — 인간과 기술, 생명과 문명의 조화를 기원 이 절차는 단지 불교의 형식이 아니라, 인류가 기술과 권력의 시대에도 마음을 잃지 않기 위한 ‘정신의 제도’다.

■ AI와 NPGA — 호국정신의 현대적 진화
올해 제향의 또 다른 상징은 ‘AI와 호국의 융합’이다.
세계 3대 AI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한국은 엔비디아(NVIDIA)의 GPU 26만 개 중 5만 개를 해남에 유치하며 ‘NPGA(Next-Generation Peaceful Global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산업정책이 아니다.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시대에, 정신과 기술의 균형을 잡는 철학이 필요하다.

대흥사 주지 스님은 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AI는 인간의 손이지만, 불심은 인간의 마음입니다. 손이 앞서면 도구가 되고, 마음이 앞서면 문화가 됩니다.” 전통은 기술의 발목을 잡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을 바로잡는 나침반이라는 메시지다.

■ 조실 보선 대종사 — “죽음의 값은 생명의 값으로”
이번 추계제향을 주재한 조실 보선 대종사는 법문에서 이렇게 설했다.
“미국의 3,500억불 투자는 한국전쟁에서 죽어간 4만 5천 미군의 희생을 기억하는 값입니다.

우리는 그 죽음을 생명의 값으로 되돌려야 합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정치적 언급이 아니다.
불교의 보은(報恩) 사상, 즉 받은 은혜를 다시 생명의 가치로 돌려주는 실천철학이다.

그것은 ‘국가의 부흥’보다 ‘인류의 평화’를 지향하는 호국불교의 진정한 정체성을 보여준다.

■ 문화의 뿌리에서 세계로 — 제향의 세계화
보선 대종사께서는 이번 APEC 정상회의를 마무리된 상황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번 APEC은 조상들의 의식을 세계화하는 계기입니다. 문화의 뿌리가 곧 정신의 뿌리입니다.” 대흥사의 제향은 더 이상 지역의 의식이 아니다.

그것은 ‘한국적 정신문화의 세계적 언어화’이자 AI 시대의 윤리적 근원을 복원하는 작업이다.

■ 결론 — 우리가 잇고 지켜야 할 것
대흥사 추계제향은
서산대사의 칼보다 깊은 불심,

정조의 글보다 강한 철학,
그리고 보선 대종사의 말보다 따뜻한 자비가 만나는 자리다.

오늘의 젊은 세대에게 이 제향은 ‘전통’이 아니라 ‘미래의 질문’이다.
우리는 과연 기술이 아니라 정신으로 세상을 이끌 준비가 되어 있는가?

호국불교는 과거의 영광이 아니라, AI 시대를 이끌 새로운 인류의 철학이다.

???? 결론 문장:
“대흥사의 향불은 역사 속의 불빛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어둠을 비추는 새로운 등불이다.”
<>



[Editorial · Special Feature]
The Revival of “Patriotic Buddhism” in the Age of AI — Questions Raised by the Daheungsa Autumn Ancestral Rite
At the threshold of autumn, a single incense stick burns at Daheungsa Temple in Haenam, and from its smoke, a thousand years of history rise again.
The Chugae Jehwang (Autumn Ancestral Rite)
is not merely a Buddhist ceremony.
It is a ritual that embodies the spirit of Patriotic Buddhism (護國佛敎) —
a reminder that the mind must lead technology, not follow it.
■ “Without a nation, there can be no Dharma” — The Manifesto of Seosan Dasa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in 1592, the great monk Seosan Dasa (休靜, 1520–1604) issued a proclamation to temples across the land:
“Without a nation, there is no Dharma.
Without the people, there is no compassion of the Buddha.”
His call stirred the mountains.
Fifteen hundred monks rose from temples across the country,
bearing not swords but compassion —
not hatred, but prayers.
Thus began the tradition of Patriotic Buddhism,
where enlightenment met the duty of defense.
In present-day North Korea, at Suchungsa Temple in Pyongan Province, relics of Seosan Dasa are still preserved — including early printed sutras from the Tripitaka Koreana.
Even across the divided peninsula, these sacred texts whisper a truth:
spiritual heritage transcends borders.
■ King Jeongjo’s Calligraphy — A Philosophical Recognition from the Throne
The reformist King Jeongjo of Joseon personally bestowed the temple plaque bearing the name Daheungsa (大興寺),
commanding that a royal-level ancestral rite be held there in honor of Seosan Dasa.
It was not mere political courtesy.
For Jeongjo, “morality is the pillar of the state.”
He saw Buddhist compassion and Confucian benevolence (仁) as two paths to the same national virtue.
His calligraphy thus remains a symbol —
of harmony between spirituality and governance,
between ritual and reason.
■ Reinterpreting the Rite — The Nation of the Mind
The Chun-Chu Jehwang (Spring and Autumn Rites) at Daheungsa have evolved with time.
The 2025 Autumn Rite has been reconstructed based on ancient texts such as The Daheungsa Uigwe and The Manual of Patriotic Monks’ Ceremonial Rites (護國僧儀笏記).
The ritual unfolds in three movements:
Hyanghwa Heongong (Offering of Incense and Flowers) — Gratitude to nature and purification of mind.
Sambo Yechan (Threefold Repentance) — Reverence for the Buddha, Dharma, and Sangha; a confession of humanity’s shared karma.
Pyunghwa Balwon Dabi Yisik (Peace Invocation and Cremation Rite) — A prayer for harmony between life, technology, and the cosmos.
This is not merely a religious sequence —
it is a spiritual constitution, ensuring that even in an age of power and code, the human heart remains sovereign.
■ AI and NPGA — The Modern Evolution of a Patriotic Spirit
This year’s ceremony also celebrates a bold symbol of convergence:
AI meets the spirit of Patriotic Buddhism.
Korea, rising as one of the world’s three AI superpowers, has secured 50,000 of NVIDIA’s 260,000 GPUs for the NPGA (Next-Generation Peaceful Global AI) project centered in Haenam.
But this is not merely an industrial milestone —
it is a philosophical one.
In an age where machines learn faster than men,
we must teach them what only humanity can — conscience.
As the abbot of Daheungsa remarked:
“AI is made by human hands, but compassion is born of the human heart.
When the hand leads, it becomes a tool.
When the heart leads, it becomes culture.”
Tradition, in this sense, is not a brake on innovation —
it is the compass that ensures progress remains humane.
■ Grand Master Bosen — “The Price of Death Must Become the Value of Life”
At this year’s rite, Grand Master Bosen delivered a striking message:
“America’s 350 billion dollar investment represents the price of the 45,000 U.S. soldiers who died in the Korean War.
We must return that price of death as the value of life.”
This was no political rhetoric.
It was the essence of Buddhist gratitude (報恩) —
to repay sacrifice with the creation of peace.
It was a declaration that Patriotic Buddhism does not seek national victory, but the awakening of humanity.
■ From Cultural Roots to Global Spirit
As the APEC summit concluded, Grand Master Bosen added:
“This APEC marks the beginning of our ancestors’ rituals becoming global.
The root of culture is the root of spirit.”
The Daheungsa rite has thus become more than a local tradition.
It is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pirituality —
a restoration of ethical consciousnes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Conclusion — What We Must Preserve
The Daheungsa Autumn Rite is where
the compassion of Seosan Dasa,
the philosophy of King Jeongjo,
and the wisdom of Grand Master Bosen converge.
To the younger generation, this is not a relic of the past,
but a question for the future:
Are we ready to let spirit, not technology, lead civilization?
Patriotic Buddhism is not a chapter in history —
it is the philosophy humanity must embrace to survive the AI era.
???? Final Line
“The incense of Daheungsa is not a relic of the past —
it is the new light that pierces the dark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이 기사는 해남뉴스 홈페이지(www.hbc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hbcnews.kr/article.php?aid=1259496375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4일 11:2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