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0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8
해남뉴스 기사 프린트
“24시간 30km 제한, 과연 안전을 위한 규제인가?”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2025년 10월 07일(화) 10:29
박충배 편집-논설위원 / 사진제공=해남뉴스
❙ 사설 ❙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naver.com

어린이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 장애인보호구역, 생활도로구역 등에서 시행되는 제한속도 30km 규정이 보행자 안전이라는 명분으로 24시간 절대적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도로교통법」과 시행규칙에는 보호구역 내 차량 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하도록 명시되어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규제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법적 근거는 분명하다.

초등학교와 유치원 주변 도로, 경로당과 노인복지시설 주변 도로, 장애인 복지시설 주변 도로, 그리고 주택가 골목 등 생활도로구역에서는 모두 시속 30km 제한이 명문화되어 있다.

보호구역 내 과속은 민식이법과 연계되어 가중 처벌까지 받는다.

하지만 과연 밤 11시, 한 명의 보행자도 없는 골목길에서 시속 30km를 지켜야 할 이유가 있는가?

현실은 규제의 엄격함과 시민 불편 사이에서 균형을 잃고 있다.

운전자는 불필요한 제약 속에서 운행 효율이 떨어지고, 교통 흐름은 방해받는다.

관계자들은 “보호구역 내 30km 제한은 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하지만, 시간대와 교통량에 따른 탄력적 적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행정은 여전히 24시간 일률적 적용이라는 경직된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 규제가 실질적 안전 증진으로 이어지는지조차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과속방지턱과 고원식 횡단보도 등 안전장치가 충분히 설치된 구간까지 일률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과잉보호에 해당하며, 시민 신뢰를 떨어뜨린다.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 관료주의가 우선되는 형국이다.

이제는 묻지 않을 수 없다.

보행자 안전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24시간 절대 속도 제한을 강제하는 정책이 정말 합리적인가?

시간대별, 교통량별 탄력적 제한 도입과 기존 안전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보행자 안전과 운행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보호구역의 속도 제한은 분명 필요하다.

하지만 보행자가 없는 심야 시간대까지 30km를 무조건 지키게 하는 규제는 행정의 경직성을 보여주는 사례일 뿐이다.

안전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찾지 못하는 한, 규제는 시민들의 불만만 키우게 될 것이다.




❙ Editorial ❙
[Haenam=Haenam News] haenamnews@naver.com
“Is the 24-Hour 30km Limit Really a Safety Measure?”
The 30km/h speed limit enforced in school zones, senior citizen zones, disabled zones, and residential streets is being applied as an absolute 24-hour regulation under the pretext of pedestrian safety.
While the Road Traffic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clearly stipulate that vehicles must not exceed 30 kilometers per hour in protected zones, critics argue that the regulation is increasingly detached from reality.
The legal basis is clear.
Roads near elementary schools and kindergartens, senior welfare facilities, disabled welfare facilities, and residential streets are all officially designated as 30km/h zones. Exceeding the speed limit in these zones is linked to the “Min-sik Act,” resulting in heavier penalties for violations.
Yet, is there any valid reason to drive at 30km/h on a deserted street at 11 p.m., when not a single pedestrian is present?
In reality, the strict regulation often conflicts with citizens’ convenience. Drivers face unnecessary restrictions that reduce traffic efficiency, while overall traffic flow is hindered.
Authorities acknowledge that “the 30km/h limit in protected zones is necessary for safety, but there should be flexible application based on time and traffic volume.” Yet the administration continues to insist on a rigid 24-hour uniform application.
A larger concern is that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 regulation truly enhances safety. Applying the speed limit uniformly to areas already equipped with traffic-calming measures, such as speed bumps and raised crosswalks, constitutes overprotection and undermines public trust. Despite viable solutions that could balance safety and efficiency, bureaucratic rigidity prevails.
We must ask: Is enforcing an absolute 24-hour speed limit in the name of pedestrian safety truly reasonable?
Implementing time- and traffic-dependent flexible limits alongside existing safety measures could ensure both pedestrian safety and traffic efficiency.
Speed limits in protected zones are certainly necessary.
But forcing drivers to obey 30km/h even during late-night hours when no pedestrians are present only exposes the rigidity of the administration.
Until a balance between safety and practicality is struck, such regulations will serve only to fuel public frustration.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이 기사는 해남뉴스 홈페이지(www.hbc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hbcnews.kr/article.php?aid=1241719067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4일 11:3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