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0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aid - assumed 'aid' in /home/hbcnews/public_html/print.php on line 18
해남뉴스 기사 프린트
유통비, 전남 농민과 소비자를 옥죄다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2025년 09월 17일(수) 15:06
[해남=해남뉴스] haenamnews@naver.com

ㅣ 사 설 ㅣ

전라남도 농민들의 현실은 가혹하다.
2023년 기준, 월동무의 78%, 양파의 72%, 고구마의 70%가 유통비로 사라지고 있다.

생산자가 땀 흘려 키운 농산물의 수익 대부분이 중간 유통단계에서 증발하고, 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감당해야 한다.

이 구조는 단순한 비용 문제가 아니라, 전남 농촌의 생존과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다.

유통비 과다 부담은 생산자에게 직격탄이다.

농민은 가격 폭락과 불안정한 수익 구조 속에서 경영을 이어가야 하고, 소비자는 합리적 가격으로 식품을 구매할 기회를 박탈당한다.

전라남도의 주요 농산물이 이처럼 구조적 문제에 갇혀 있는 상황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해법은 명확하다.
직거래 활성화와 유통 구조의 투명화다.

온라인 직거래 플랫폼과 로컬푸드 직매장을 확대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고, 중간 마진을 최소화해야 한다.

동시에 가격 정보 공개와 품질 등급 강화로 거래 과정을 투명하게 만들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또한 공동 브랜드화와 스마트 유통 시스템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지역 특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요 예측과 재고 관리를 효율화함으로써 낭비와 비용을 줄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 개선 없이는 유통비 부담은 여전히 농민과 소비자를 옥죄는 족쇄로 남을 수밖에 없다.

전남 농수축산물 유통비 문제는 단순한 농업 정책 과제가 아니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사회적 정의의 문제다.

지금 필요한 것은 말이 아닌 행동,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정책 지원과 실질적 변화다.

유통비 부담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전남 농촌의 미래와 지역 경제의 건강은 점점 더 큰 위기에 놓일 것이다.




Editorial
[Haenam = Haenam News] haenamnews@naver.com
Distribution Costs Tighten the Noose on Farmers and Consumers in Jeollanam-do
The reality facing farmers in Jeollanam-do is harsh.
As of 2023, 78% of the value of winter radish, 72% of onions, and 70% of sweet potatoes are swallowed up by distribution costs.
Most of the profit from crops grown through the sweat of farmers evaporates in the middle distribution stages, while consumers are forced to shoulder higher prices.
This structure is not simply a matter of cost—it is a grave social problem that threatens the survival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regional economy.
Excessive distribution costs strike farmers directly.
They must continue farming amid plummeting prices and unstable income structures, while consumers are deprived of the chance to purchase food at reasonable prices.
The fact that Jeollanam-do’s key agricultural products remain trapped in such a distorted system is a reality that can no longer be ignored.
The solution is clear: activate direct transactions and bring transparency to distribution structures.
Expanding online platforms and local food stores can directly connect producers and consumers, while minimizing middleman margins.
At the same time, public disclosure of price information and strengthened quality grading are essential to restore trust in the marketplace.
Furthermore, joint branding and the adoption of smart distribution systems are no longer optional but necessary.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specialties, forecasting demand, and managing inventories more efficiently, waste and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ithout such structural improvements, distribution costs will remain shackles that tighten around both farmers and consumers.
The issue of distribution costs in Jeollanam-do’s agriculture, fisheries, and livestock is not merely an agricultural policy challenge.
It is a matter of social justice, in which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must be able to coexist fairly.
What is urgently needed now is not rhetoric but action—decisive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nd tangible change on the ground.
If distribution costs are not reduced, the future of Jeollanam-do’s rural communities and the health of its regional economy will face ever greater peril.
해남뉴스 박충배 편집 및 논설위원 haenamnews@naver.com
이 기사는 해남뉴스 홈페이지(www.hbc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hbcnews.kr/article.php?aid=1228680366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2일 08:56:08